[이투뉴스] 지난 25일 열린 국회수소경제포럼에선 우리나라가 수소경제 선도국 위치를 다지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는 얘기가 오갔다.

창립총회 참석자들은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 전주기에 대한 제도 마련과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다만 개회사부터 축사, 기조강연까지 세부적인 사항에서는 ‘운송’ 분야에 시선이 쏠렸다. 이전 20, 21대 국회선 수소 활용이 메인이었다면 이번에는 "운송 효율성을 어떻게 확보할 것인지"에 대한 의견이 핵심주제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특히 항만을 비롯한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있는 암모니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미 관련 연구개발과 프로젝트가 활발하다. 해상 운송수단을 통해 호주, 사우디 등 해외에서 생산된 청정수소를 암모니아로 변환해 도입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여기서 청정수소는 물전기분해(수전해)로 생산한 그린수소뿐 아니라 천연가스를 개질하고, 그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블루수소까지 포함한다. 결과만 다를뿐 결국 천연가스 수입량이 증가하는 것과 크게 다를바 없다는 의문이 남는다.

수소경제가 탄소중립 달성은 물론 에너지자립을 확보할 수 있다는 기대와 달리 국내 인프라 구축 및 생산이 아닌 오히려 수입과 비용이 증가한다는 것은 달가운 얘기가 아니다. 사실상 두 마리 토끼 중 한 마리를 놓치면서도 청정수소와 암모니아만 강조하고 있는 셈.

생산측면이 뒷전으로 밀린 가장 큰 이유는 경제성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린수소의 경우 생산비용만 해도 현재 충전소에서 운전자에게 판매하고 있는 가격과 크게 다르지 않다. 운송비용이 추가로 발생하면 판매가격보다 비쌀 수밖에 없는 구조다. 소비자는 물론 충전소도 달가워하지 않을 것이 자명하다. 

그럼에도 생산분야를 외면해선 안되는 이유는 아직 석유화학 공정에서 나오는 그레이수소가 충전소 공급량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다. 수소경제를 탄소중립 달성과 에너지전환의 핵심이라고 국민에 알렸다면 결국 사용하는 전량을 청정수소로 공급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생산공정서 탄소가 발생하는 그레이수소는 친환경이라고 볼 수 없고, 모빌리티에 쓰이는 양까지 청정수소로 전환하기 위해선 에너지 수입비용이 증가하는 딜레마에 놓여있다. 

해가뜨지 않고 바람이 불지않는 국가는 지구 어디에도 없다. 문제 해결은 결국 재생에너지가 기반이 되는 그린수소를 늘리는 길 밖에  없다. 1차산업인 생산부터 기반을 제대로 구축하지 않고선 진정한 수소경제라 할 수 있을까.

생산 분야에 대한 경쟁력을 제대로 확보하지 않고 운송(2차산업)과 활용(3차산업)에 집중하는 것은 기형적인 구조다. 수소모빌리티를 선박, 드론, 건설기계 등으로 확대하고 해상을 통해 암모니아 도입을 구체화한 것처럼 그린수소 생산비용을 어떻게 줄일지에 대한 모색도 함께 이뤄져야 한다. 

유정근 기자 [email protected]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