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조형환 강원테크노파크 에너지팀장
시비로 민간충전소 및 타지역 운전자 지원 옳지 않아
보조금만큼 올리면 유통·판매자도 경제성 확보 가능

조형환 강원TP 에너지팀장이 인터뷰 중 웃음을 짓고 있다.
조형환 강원TP 에너지팀장이 인터뷰 중 웃음을 짓고 있다.

[이투뉴스] 우리나라는 2019년 수소경제 로드맵 발표 이후 투자를 지속해 모빌리티 부문에서 세계 1위 타이틀을 유지해 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에 자리를 내주며 2위로 내려앉았다. 가장 큰 이유로는 충전소 부족, 연료가격 인상 등이 꼽힌다. 이런 가운데 최근 국내 첫 액화수소충전소가 문을 열었다. 액화수소는 대량으로 저장·운송이 가능해 모빌리티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다만 아직 경제성은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수소충전소 적자문제가 지속되는 등 해결해야 할 과제도 남아 있다.

수소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인프라(수소차, 충전소)가 필수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가 여러 지원을 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연료보조금이다. 현재는 보조금을 충전소에 주고 있다. 세금으로 민간 충전소를 지원한다는 말이 나온다. 수소차 운전자는 가격이 저렴한 충전소를 찾고 있고, 값싼 지자체로 이동하는 경우도 많다. 가격이 비싸 판매량이 적은 충전소와 싼 가격으로 파는 충전소 모두가 손해를 보는 구조다. 일부 지자체는 다른 지역 수소차를 위해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지난달 25일 그린에너지엑스포 대구 행사장에서 만난 조형환 강원테크노파크 에너지팀장은 "수소 연료보조금 지원이 잘못 이뤄지고 있다"고 질타했다. 적자 수소충전소를 대상으로 보조금을 주는 것은 적자를 완전 해소해주지 못할뿐더러 세금으로 민간사를 지원해주는 꼴이라고 직격했다. 

그는 이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근본적 원인이 해외 대비 수소가격이 현저하게 낮기 때문이라고 꼬집었다. 생산단가와 운송비, 인력비 등을 고려한다면 kg당 1만7000원은 돼야 충전소가 자체적으로 이익을 낼 수 있는 상황인데, 2019년 가격 8800원에서 현재도 큰 변동없이 평균가격이 1만원 이하를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지금까지 충전소에 지급했던 연료보조금을 소비자(운전자)에게 지급해 가격인상으로 생길 수 있는 불만을 잠재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자체에 등록된 수소차가 같은지역 충전소에서 연료를 채울 경우 30%를 지원하면 지금과 큰 차이가 없다는 설명이다. 보조금 지원체계를 바꾸면 굳이 싼 충전소를 찾아 다른 지역까지 이동할 필요도 없고 충전소도 적자를 해소할 수 있다는 것.

◆액화수소의 안전성과 경제성
그는 액화수소가 시장에 진출하면서 나오고 있는 안전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에선 대해 LPG차를 빗대어 설명했다. 과거 LPG차량이 처음나왔을 때 폭발물을 차에 싣고 다닌다는 시각도 있었으나 지금은 너도 나도 LPG차를 타고 있다는 사례에서다. 연료를 안전한 그릇에 담으면 안전성이 확보되고, 안전성이 검증되면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논리다. 액화수소도 마찬가지라고 했다.

아직 연구개발 단계라 위험하다는 인식이 강하고, 실제로 위험하기도 하지만 머잖아 충분한 연구개발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우리나라도 이미 인천시, 울산시, 창원시 3곳에 액화수소플랜트가 준공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인천플랜트는 이미 충전소에 공급을 시작했다는 것. 이에 맞춰 강원도에서도 춘천시, 원주시 등에 액화수소충전소를 짓고 있다. 연료는 인천에서 받을 계획이다. 액화수소가 인천서 부산까지 안전검증이 마무리된 상태로 액화수소충전소 2개소가 더 들어서게 되면 강원도 수소모빌리티 활성화가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다만 액화수소는 충전소 말고는 쓸 수 있는 곳이 없어 승용차만으로는 향후 생산되는 양을 다 쓸 수 없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이 문제는 기존 압축천연가스(CNG)버스를 수소버스로 전환하는게 해답이 될 수 있다고 제시했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해외도 상용모빌리티(버스)는 수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액화수소가 지금은 양을 다 쓰기도 어렵지만 나중에는 수출까지 가능한 에너지원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내에 추가 플랜트 구축 계획이 있는 이유도 수출까지 고려한 것으로 내다봤다. 추후 액화수소를 직접 충전하는 것이 가능해지면 활용처가 늘어날 수 있어 독일에서 관련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강원도 동해안 수소경제벨트 구축사업 계획.
강원도 동해안 수소경제벨트 구축사업 계획.

◆강원TP, 강원도 수소생태계 구축 

그는 강원도 수소저장·운송클러스터 구축사업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강원TP는 총괄수행기관으로 수소저장·운송클러스터 구축사업에 참여했다. 중앙행정기관으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전담기관으로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행·재정지원과 운영비 보조는 강원도, 동해시, 삼척시가 맡기로했다는 설명이다. 

참여 기관들은 강원도 수소저장·운송클러스터 구축사업을 통해 지금까지 강원도에 생산기지 2개(삼척, 속초), 충전소 12개소(지자체 운영 7, 민간 5)를 구축했으며 평창군과 동해시에 추가 생산기지를 구축 중이다. 충전소도 3개소 더 짓고 있다고 한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국비, 도비, 시·군비, 민간자본을 포함한 707억5000만원을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친환경 모빌리티 확산을 위한 수소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사업을 통해 4100억원의 경제적 효과와, 2028년까지 4500명 규모 일자리 창출, 동해안 수소경제벨트를 조성하겠다고 사업 계획을 밝혔다. 

그는 “수소사업 중에서도 핵심은 액화수소와 저장·운송 분야”라고 강조했다. 삼척시와 동해시를 수소저장·운송클러스터 거점으로 삼고  집중 투자하고 있다. 삼척시에는 하루 30톤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액화플랜트를 구축하기 위해 2028년까지 전체 2511억원을 투자한 사업을 진행 중이다.

동해시에선 저장·운송분야 소재·부품을 검증할 수 있는 실증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증을 통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고 제품을 국산화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2028년까지 전체 140억원을 투자해 다양한 형태의 수소를 저장·운송할 수 있는 기술과 제품을 실증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동해신항을 수소항만으로 암모니아를 수입하는 사업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수입한 암모니아는 그린수소지구, 그린암모니아 지구, 수소전환지구, 신규조성지구서 활용할 예정이다. 그린수소지구에선 P2G 수소생산 실증과 그린수소 상용플랜트에 사용한다. 그린암모니아 지구에선 혼소발전, 크랙킹 및 연료전지 실증에 쓴다. 아울러 기업이 수소로 업종을 전환하도록 실증에 도움을 줄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강원도 수소저장·운송클러스터 구축사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동해안 수소경제벨트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과거 1차에너지의 중심지였던 도를 재생에너지와 수소의 중심지로 도약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강원도 수소 생산시설 및 충전소 구축 현황.
강원도 수소 생산시설 및 충전소 구축 현황.

유정근 기자 [email protected]

[조형환(趙衡煥) He is...]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명지대학교 무기재료공학과 학·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엠알더블유테크놀로지 연구소, 케미랜드 연구소에서 근무했다. 강원테크노파크에선 신소재사업단 연구개발팀장을 거쳐 현재는 에너지센터 에너지팀장직을 수행 중이다. 강원도 액화수소 규제자유특구사업 총괄책임 ▶환경부 수소충전소 5기, 버스충전소 1기 총괄책임 ▶강원도 액화수소 제조 및 액화수소 선박 실증사업 책임 등을 맡고 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