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욱 이투뉴스 발행인

[이투뉴스 사설]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로봇과 의료 등 첨단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전기 수요가 그만큼 폭증하고 있으나 전력생산지와 소비처가 멀리 떨어져 있어서 100조원 이상의 계통보강 비용이 소요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전력산업연구회가 개최한 세미나에서 전우영 전남대 경제학부 교수는 ‘AI 혁명과 전력수요 전망’이란 발표를 통해 국내 에너지 수요는 2018년 2억3400만TOE에서 2050년 2억2300만TOE로 약 5% 감소할 전망이다.

이같은 에너지 수요 감소는 탄소중립 정책에 따른 화석에너지 축소와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경제규모 등을 감안한 것으로 같은 기간 화석연료의 비중은 89%에서 15%로 수준으로 급감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갈수록 전기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최종에너지 수요에서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 19.3%에서 2050년 45.1%가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당연히 전력수요 역시 전기화와 AI 영향으로 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2038년 목표수요보다 최대 31%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설비용량 기준으로 원전은 1.4배, 태양광과 풍력은 3.8배 늘려야만 가능하며 문제는 전력공급지와 수요지의 지리적 불일치로 막대한 계통 보강비용이 들것이라고 전교수는 지적했다.

대형 석탄과 원자력발전소는 대부분 경남북과 충남, 전남 등 바닷가에 몰려 있는데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원도 영호남과 충남지역에 집중돼 있어 생산된 전력을 주요 소비처인 수도권으로 공급하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계통 보강비용이 소요된다는 설명이다.

10차 장기 송변전설비계힉은 망보강 비용을 56조5000억원, 10차 전력계획은 ESS 보강비용 등으로 약 48조원을 추정하고 있으나 송전망과 ESS는 대체재여서 망혼잡이 경감되기 때문에 통합 계통비용은 2036년까지 100조원 이상이 될 것이라는 계산이다.

전교수는 현재와 같이 송전망 건설이 지연되고 수요 공급의 불일치가 지속될 경우 2038년에는 호남과 영남지역의 잉여 무탄소 용량이 계통 수용한계를 초과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결국은 분산에너지특별법의 계통영향평가와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화 등 경제적 유인정책을 통해 수요를 비수도권으로 확장시키고 공급은 수도권으로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나 지역별 전기요금 차등제 등은 수도권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에 쉬운 일은 아니라는게 전문가들의 견해.

어쨌든 전기화로 인한 전력수요 급증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현실이 아니다. 하지만 전기화 진전에 따른 계통보강 없이는 이같은 산업적 전기수요를 충족시키기가 여간 쉬운 일이 아니다.

원가보다 싼 전기요금 때문에 한국전력공사의 누적적자가 눈덩이처럼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계통보강을 위한 재원을 어떻게 마련하고 얼마나 빨리 실행하느냐에 따라 우리나라의 첨단산업의 명운이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작권자 © 이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